아주 기초적이고 당연한 것이지만 json-server가 켜진 상황에서 yarn start를 하는 방법을 알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구체적으로는 json-server가 db.json 이라는 파일을 포트 4000번으로 바라보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포트로 yarn start를 해 줘야 하는 상황이었다.
해결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json-server를 구동시킨 터미널을 켜둔 상태 그대로 새 터미널을 열어, 그 곳에서 yarn start를 실행해 준다.
이때, 폴더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렇게 두 가지의 터미널을 이용해 두 가지 서버를 열어놓게 되면 json-server 구동 동시에 yarn도 함께 구동시켜 줄 수 있다.
복습을 위한 강의 판서
오늘도 잘 해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715) LT-84 키보드 ALT키와 윈도우 키 바뀜 현상 (0) | 2023.07.15 |
---|---|
230714) 리덕스 툴킷 기본 세팅 (0) | 2023.07.14 |
230630) react, styled-component 사용 시 Google font(구글폰트) 적용하기 (0) | 2023.06.30 |
230629) <Header> position:fixed 의 경우에 <body> 컨텐츠 hover에 animation, transform 적용시 튀어나옴 현상 (0) | 2023.06.29 |
230627) localStorage로 객체를 저장하고자 할 때 방법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