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30522) JavaScript 문법 종합반

유이 YUI 2023. 5. 22. 21:22

1. JS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객체지향↔절차지향)

- 절차지향 : 첫 번째 완료 이후 두 번째, 이후 세 번째 식으로 순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형식

- 객체지향 : 데이터와 함수를 '객체'라는 '그룹'으로 묶어서 처리 (객체는 상태, 행동을 가지고 있으며 상태를 객체의 속성(property)라고 부르기도 함.

2. JS의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에 대해 다시금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JS의 데이터 타입은 부트캠프 이전에 개인적으로 공부했던 부분이라, 어느정도 알고 있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을 들으며 하나하나 식을 만들고, 터미널을 이용해 console.log로 찍어 보니 조금 더 확실히 와닿는 것 같았다.

3. JS 를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 처음에는 아예 감조차 잡히지 않았는데 기초에 대해서 배우다 보니 점점 더 이 식을 이런 곳에 사용하겠구나~라는 감이 생기고 있다. 기초를 확실히 잘 다져서 이 식을 실제 사이트를 만드는 데 사용해 보고 싶다! 특히 조건문 사용을 빨리 해 보고 싶다. 기초를 배울 때는 간단하게 주로 숫자 위주로 매개 변수를 넣기 때문에 실사용 시에는 정확히 어떤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true, false의 값에 맞추어 조건문을 만들지 궁금하다!

4. switch문

let fruit = "바나나";

switch (fruit) {
  case "사과":
    console.log("사과입니다.");
    break;
  case "바나나":
    console.log("바나나입니다.");
    break;
  default:
    console.log("아무것도 아닙니다.");
    break;
}

 

 

이처럼 switch()안에 변수값을 입력하고, 변수의 조건에 해당되는 case가 출력된다.

하나의 'case'가 끝날 때에는 꼭 'break;'를 넣어 줘야 하며, default값은 그 어떤 case에도 해당되지 않을 경우의 값을 입력하면 된다.

 

if, else문 등은 본 적이 있어 알고 있었지만 switch는 처음 만난 것 같다! (어쩌면 선습할 때 봤는데 잊었을지도...)

 

여러 방면에서 응용 가능한 형태일 것 같으니 외워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