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의 특징
- this는 앞에 오는것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종속되는 곳이 달라진다!
아무것도 없을 경우에는 전역 객체(window, golbal)으로 기준이 잡히는 이유는 무엇이다?!
사실은 this 앞에는 window. 이 기본으로 생략되어 있기 때문이다!
JS 셀렉터
- CSS 셀렉터에 익숙한 편이다 보니 사용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아래 사항은 기억해 두고 고려해야 할 듯하다.
보통 CSS에서 child를 불러올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li:nth-child(2) {
//여기에 css속성 삽입
}
:nth-child(n)은 몇 번째 자식을 선택할 것인지를 뜻한다.
css의 초기값은 1부터 시작하기 1을 기재하면 첫 번째 자식이 된다.
따라서 위 코드를 스타일시트에 삽입하고 html에 적용하면
li 중 두 번째 자식이 잡히게 될 것이다.
(보통 첫 번째와 마지막 자식은 각각 :first-child / :last-child를 사용한다)
다만 JS에서 어떠한 요소의 자식 요소를 사용할 때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시는 아래와 같다.
document.querySelector("#id값").children[1]
(예시의 id값은 querySelector 사용 시 다른 요소로도 변경 가능함!)
위 예시는 #id값의 자식을 선택하는 예시이다.
css의 :nth-child()가 .childeren[] 으로 변경됐다고 생각하면 쉽다.
다만 js에서는 배열도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듯이, 초기값이 0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children[1]는 두 번째 자식을 뜻하게 된다.
이 점을 유의할 것!
오늘도 잘 해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601) 선택자와 prototype 그리고 배열메소드 (0) | 2023.06.01 |
---|---|
230531) 영화 평가 리스트 사이트 구현 (0) | 2023.05.31 |
230526) JS 기초 복습 및 실행 컨텍스트 (0) | 2023.05.27 |
230525) 얕은 복사, 깊은 복사 | 기본형, 참조형 데이터 (0) | 2023.05.25 |
230524) JS(자바스크립트)와 함수, 그리고 GIT 특강 (0) | 2023.05.24 |